본문 바로가기
삼국지

정사 삼국지 연표

by 맬피스 2023. 4. 29.

삼국지에 관해 연의가 아닌 정사로

155 ~ 280까지의 연표

색깔별로

한나라 후기 사건들과 독자세력은 검정

조조, 위 나라 세력은 파랑

유비, 촉 나라 세력은 초록

손권, 오 나라 세력은 빨강

으로 표시하고

위 나라 후는 진나라는 보라

으로 표시합니다

서력
원호
사건
155
영수
원년
永壽
가을 - 남흉노가 반란을 일으키자 장환(長奐)이 진압.
사주(四州) 기주(冀州)에 기근이 듦.
패국(沛國)의 초현(譙縣)에서 조숭(曹嵩)의 아들 조조(曹操) 태어남, 자(字)는 맹덕(孟德).
156
영수 2
손견(孫堅) 태어남, 자는 문대(文臺).
159
연희 2
延熹
양태후 세상을 떠남. 양기 일족이 제거됨.
이 공로로 환관 단초 등이 열후에 봉해짐.
161
연희 4
8월 -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해 매관(賣官) 시작됨.
11월 - 남양(南陽)과 곤양(昆陽)의 백성 반란, 주모자는 살해됨.
유비(劉備) 태어남, 자는 현덕(玄德).
163
연희 6
순욱(荀彧) 태어남, 자는 문약(文若).
선비족, 요동속국(遼東屬國)으로 침입.
166
연희 9
제 1차 당고의 화가 일어남. 사례교위 이응 등이 당인으로 투옥됨.
167
영강
원년
永康
당인을 사면해 각각 고향에서 종신금고. 환제 세상을 떠남.
168
건녕
원년
建寧
영제 즉위. 대장군 두부와 태부 진번이 환관 제거를 꾀함. 환관 조절, 왕보등에게 살해 됨.
169
건녕 2
제 2차 당고의 화가 일어나고 이응등 1백여 명이 처형됨.
175
희평 4
熹平
손책(孫策) 태어남, 자는 백부(伯符)
179
화평 8
사마의(司馬懿) 태어남. 자는 중달(仲達)
182
광화 5
光和
영제(靈帝)가 자사(刺史)와 태수(太守)가 민간에 헤를 끼친다는 것을 앎
환관들이 뇌물을 받은일이 잦아짐
2월 - 역병이 크게 유행함
손권 (孫權)태어남, 자는 중모(仲謀)​
183
광화 6
황건적(黃巾賊) 10년 사이 중국 8주에서 수십만 명을 거느린 집답으로 성장
후한 말, 호족 지주에 의한 토지겸병의 위기에 끊임없이 직면해 있던 농민이 황건적이 됨
황건적 우두머리 장각(張角), 위군(魏郡-후에 조조의 거점이 되는 지역)에서 반란을 일으킴
184
광화
말년
중평
원년
中平
2월 - 장각(張角), 황건적의 난(黃巾賊 亂)을 일으킴.
당고 해제됨. 황보숭, 주준 등 황건적의 난 평정.
조조, 기도위(騎都尉)에 임명. 영천(潁川)에서 황건적을 토벌,
이 공적으로 제남국(濟南國)의 상(相)으로 승진.
유비, 관우(關羽) 자는 운장(雲長), 장비(張飛) 자는 익덕(益德), 함께
사설군을 일으켜 (황건의 난) 진압에 활약.
손견은 주준(朱儁)과 황건적 토벌.
장각(張角), (병으로) 세상을 떠남.
185
중평 2
한수, 변장, 양주에서 반란을 일으킴. 동탁이 이를 토벌.
186
중평 3
사공(司空) 장온(張溫)을 보내 변장(邊章)등을 토벌하게 함.
187
중평 4
한수(韓遂)가 변장(邊章)을 살해하고 농서(隴西)를 포위.
유비, 독우(관직이름)를 매질하고 관직을 버림.
10월 - 손견이 장사(長史)의 반란 평정.
11월 - 조숭이 매관으로 태위(太尉)가 됨.
조비(曹丕) 태어남, 자는 자환(子桓).
손견, 장사(長沙)의 반란을 평정함.
188
중평 5
황건전 난 다시 일어 남. 잔당들이 각지에서 반란.
8월 - 조조가 서원팔교위(西園八校尉)에서 원소와 함께 교위에 임명.
(서원 팔교위 - 십상시들이 세운 황실 경비병과 서원군을 이끈 이끈 여덟 교위)
주치(朱治), 장사,영릉,계양 세 군의 적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움.
189
중평 6
2월 - 황보숭(皇甫嵩), 자는 의진(義眞). 왕국(王國)을 쳐부숨.
4월 - 영제, 세상을 떠나고 소제(少帝) 유변(劉辯) 즉위. 광희(光熹)라고 개원.
십상시의 난,
대장군 하진(何進)이 실권을 장악후 환관 주살계획 탄로로 환관들에게 살해됨.
동탁, 낙양으로 돌아와 소제를 폐위하고 헌제를 옹립함.
조조, 원소, 원술, 노식 등과 함께 반(反) 동탁 연합 전선 준비
향리에서 동탁 토벌 의병모집
12월 - 조조, 기오(己吾)에서 군대를 일으킴
189
영한
원년
永漢
순욱, 효렴(孝廉)으로 천거 되어 수궁령(守宮令)에 임명.
190
초평
원년
初平
동탁, 소제 유변을 시해.
(이유, 소제를 독살)
원소, 조조등 동탁 도벌군을 일으킴.
정월 - 원소가 반통탁 전선에 맹주로 추대, 전선이 (곧) 해체됨.
(제후들의 내분으로 반동탁엽합 해산)
2월 - 동탁, 장안(長安)으로 천도를 강행.
유표(劉表), 형주 자사(荊州刺史)가 되어 세력을 비축.
손견, 형주자사(荊州刺史) 왕준(王濬)과 남양태수(南陽太守) 장자(張咨)를 살해.
손견, 다른 제후와 동탁(董卓) 토벌 가담.
원술, 남양군을 점거.
191
초평 2
봄 - 원소와 한복(韓馥)이 유우(劉虞)를 황제로 옹립하려 하나 유우가 받아들이지 않음.
손견, 동탁과 여포(呂布)의 군대를 격파하고 낙양(洛陽)으로 들어옴.
-여포(呂布) 자는 봉선(奉先)-
4월 - 동탁, 장안으로 돌아옴.
원소, 공손찬(公孫瓚) 자는 백규(伯珪), 기주를 두고 대립함.
순욱이 원소 곁을 떠나 조조에게 몸을 의탁.
조조, 동군 태수(東郡太守)가 됨.
192
초평 3
원소, 계교 전투에서 공손찬을 쳐부숨.
조조, 흑산(黑山)의 우독(于毒)과 휴고(眭固)를 연파함.
4월 - 동탁, 왕윤(王允), 여포에게, 암살 당함.
6월 - 이각(李傕), 곽사(郭汜) 장안을 습격하여 점거, 왕윤을 처형. 여포, 도주함.
11월 - 유표, 형주목(荊州牧)이 됨.
겨울 - 조조, 황건적에 대승, 30만명 투항벙을 얻어 청주병(靑州兵)을 조직.
조식(曹植)이 태어남.
손견, 원술의 지시를 받아 형주(荊州)를 정벌하고 유표를 공격중 전사, 아들 손책, 뒤를 이음.
193
초평4
정월 - 조조, 원술을 패배 시킴.
봄 - 조조, 견성(鄄城)에 군대를 주둔.
도겸(陶謙), 조숭 및 조숭 일가 몰살함.
조조, 도겸이 있는 서주(徐州)로 진격 대학살을 벌임.
(1차 서주대학살)
공손찬, 한 혈족 유우를 처형함.
손책, 원술의 지시를 받아 장강(長江)을 건너고, 몇 년 안에 강동(江東)을 소유하게 됨.
194
흥평
원년
興平
봄 - 조조, 서주에서 연주(兗州)로 돌아 옴.
4월 - 조조, 다시 서주 공격.
(2차 서주 대학살)
진궁, 장막 등 조조에게 반기를 듦. 여포, 연주에서 영입 됨.
여포, 조조의 복양을 탈취 함.
유언(劉焉), 악성 종양으로 생을 마감.
유비, 예주지사에 임명 도겸 사후 서주목을 겸임.
손책, 원술을 따르자(의탁) 원술은 각별히 여겨 손견의 부대를 돌려줌.
195
흥평 2
정월 - 조조, 정도(定陶)에서 여포를 쳐부숨.
여포, 유비에게 몸을 의탁.
3월 - 이각이 헌제(獻帝)를 납치.
헌제, 장안을 탈출.
대장군 직위를 원소에게 양보, 스스로 사공(司空), 거기장군(車騎將軍) 됨.
10월 - 조조, 연주목(兗州牧)에 임명됨.
손책, 강동으로 세력을 확장함.
196
건안
원년
建安
정월 조조가 무평현(武平縣)에 도착. 원사(袁嗣)가 항복함.
7월 - 동승(董承) 등이 헌제를 받들고 장안을 벗어남.
10월 - 조조, 헌제를 받들어 허창(許昌)에 도읍을 정함,
조조, 표를 올려 유비를 진동장군(鎭東將軍)으로 삼고 의성정후(宜城亭侯)에 봉함.
유비, 원술과 한 달 넘게 서로 대치. 그 틈에 여포가 배신아여 하비(下邳)를 습격. 여포, 서주목으로 칭함.
손책, 하제(賀齊)를 눈여겨보고 효렴(孝廉)으로 천거.
197
건안 2
정월 - 조조, 육수(淯水)까지 남진.
장수(張繡)가 항복 후 (모반) 기습하여 장남 조앙(曹昂)과 조카 조안민(曹安民)을 잃음.
무음(舞陰)으로 퇴각 장수를 격파.
11월 - 조조, 여포를 공격.
원술, 수춘(壽春)에서 제위(帝位)를 참칭(僭稱). (스스로 황제를 칭함). 국호를 중가(仲家)라고 함.
손책, 원술과 절교. 강동을 평정
198
건안 3
정월 - 조조, 허현(許縣)으로 돌아와 군사좨주(軍師祭酒)를 설치.
3월 - 조조, 장수를 양성(襄城)에서 포위.
4월 - 조조, 견성에 도읍을 두자는 원소의 요청을 거부.
10월 - 조조, 여포를 공격. 진궁(陳宮)과 고순(高順)을 참수.
하비 전투 승리로 장료(​張遼)를 얻음.
유비, 조조와 협력 여포를 멸함.
손책, 몸소 주유(周瑜)를 맞이하여 건위중랑장(建威中郞將) 임명.
199
건안 4
6월 - 조조, 원소의 허도(許都) 습격 사실을 알고 군대를 여양(黎陽)으로 진군.
유비 , 서주(徐州)에 머무르며 소패를 지킴. 관우, 하비(下邳)를 지킴.
유비, 조조의 명으로 원술을 멸망시킴. 조조에게 반기를 듦.
유비, 조조에게 공격받고 허도를 탈출, 서주 탈환. 원소와 동맹을 맺음.
원소, 역경전투 승리.
공손찬, 원소와의 전투에서 패배 자결.
손권, 손책을 따라 여강태수(​廬江太守)) 유훈(劉勳)을 정벌하러 감.
유훈을 격파후, 진군하여 사선(沙羨) 에서 황조(黃祖)를 토벌.
200
건안 5
조조살해 계획이 발각되어 헌제의 장인인 동승 등이 처형됨.
조조, 유비를 토벌, 관우를 포획. 관우를 평장군(偏將軍)에 임명.
유비, 원소에게 의탁함.
2월 - 조조, 안량(顔良)과 문추(文醜)를 무찌름 (죽임).
관도 대전.
8월 - 조조, 원소와 관도(官渡)에서 대치.
10월 - 조조, 오소烏巢의 치중(輜重-양식과 군용물자를 실은 수례)을 습격 원소군을 무찌름.
백마(白馬縣) 관도에서 원소군을 격파함.
유비, 관우, 장비 재회하여 여남으로 향함.
손책, 조조와 원소가 관도에서 교전 할 때, 허도(許都)를 습격하여 한 헌제를 맞이하려 함.
손책, 예전 오군태수(​吳郡太守) 였던 허공(許貢)의 식객에게 화살을 맞음 (자객손에 중상).
동생 손권에게 후사를 부탁 하고 26세로 세상을 떠남.
손권, 재능있는 자들을 불러 모으고, 부장들을 각지로 파견, 산월족을 진압, 명령에 복종하지 않는 자들을 토벌.
201
건안 6
4월 - 조조 창정(倉亭)에 주둔한 원소군을 무찌름.
유비, 여남에서 조조에게 패. 형주(荊州) 유표(劉表)에게 몸을 맡김.
202
건안 7
5월 - 원소, 병으로 세상을떠남. 막내 원상(袁尙)이 자리를 이음.
9월 - 조조, 원담(袁譚)과 원상 원씨 형제와 대치.
손권, 어머니 오씨(吳氏)가 세상을 떠나자 고릉(​高陵)의 손견과 함장.
203
건안 8
3월 - 조조, 원씨 형제를 쳐부숨.
8월 - 조조, 유표를 공격 서평(西平)까지 진군.
조조, 순욱의 공적을 기록한 표를 올려 만세정후(萬歲亭侯)에 봉함.
손권, 서쪽으로 황조를 토벌하러감 그의 수군을 격파 시켰으나 섬은 함락 시킬수 없었음.
산월족(山越族), 다시 반란을 일으킴.
204
건안9
8월 - 조조, 업성(鄴城)을 함락. 기주목(冀州牧)에 임명됨.
이것을 안 고간(高幹)은 병주(并州)에서 다시 거병.
손권의 동생 단양태수(​丹陽太守) 손익(孫翊), 측근에게 살해됨. 사촌 형 손유(孫瑜)가 뒤를 이음.
205
건안10
정월 - 조조, 남피(南皮)에 있는 원담을 참수 기수를 평정.
흑산적 수령 장연, 조조에게 항복함.
손권, 하제(​賀齊)에게 상요(上)를 토벌 하도록 하고, 상요를 분할해 건평현((建平縣)을 만듦.
206
건안11
정월 - 조조, 고간 정벌하러 진군.
고간은 형주로 도망. 상락도위(上洛都尉) 왕염(王琰)이 그를 붙잡아 참수.
손유, 주유와 함께 마둔(麻屯)과 보둔(保屯)을 토벌.
207
건안12
2월 - 조조, 표를 올려 공심 20명을 열후(列侯)에 봉함.
조조, 북쪽으로 진군 오환족(烏丸族) 원정. 답돈(蹋頓)을 참수.
조조, 오환을 정복하여 평정. 원가를 멸망시킴.
유비, 유표에게 허창(許昌)을 습격 하라 권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음.
조조, 남쪽으로 내려와 유표를 정벌할 무렵, 유표, 세상을 떠남.
유비, 제갈량​(諸葛亮)을 세 번 찾아가 불러들임.
손권, 서쪽으로 황조를 정벌. 그의 관리와 백성들을 포로로 잡아 돌아 옴
208
건안13
정월 - 조조, 업성으로 돌아와 현무지(玄武池)를 만들어 주사(舟師-수군)를 훈련.
봄 - 손권, 또다시 황조를 정벌하러 감.
6월 - 조조, 삼공의 제도를 폐지 승상(丞相)과 어사대부(禦史大夫)를 설치. 스스로 승상에 오름.
조조, 공융을 처형.
유표 사후, 유종은 조조에게 항복.
적벽에서 유비, 손권 연합군에 패함.
사사의, 조조 밑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함.
제갈량, 유비의 군사가 됨. 제갈량, 시상(柴桑)에 가서 손견과 회견.
11월 - 유비, 손권과 연합하여 적벽(赤壁)에서 조조 대군을 격파하고 형주의 강남 4군을 손에 넣음
11월 - 손권, 유비 연합군 결성. 적벽에서 조조 대군에 대승.
209
건안14
7월 - 조조, 합비(合肥)에 주둔하다 12월에 초현으로 돌아옴. 조조, 회남(淮南)에서 둔전(屯田)을 실시.
유비, 형주목이 됨. 손권 여동생과 혼인.
주유, 조인(曺仁)과 1년여가 넘게 대치 하여 부상을 당한자가 매우 많았음. 조인은 성을 버리고 도망.
손권, 강하(​江夏)를 토벌. 주유를 전부대독(前部大督)에 임명.
손권, 여동생을 유비와 혼인 시킴.
210
건안15
조순(曹純), 세상을 떠남 조비가 즉위. 위후(威侯)로 추증.
조조, 구현령 (求賢令) 하령 인재 등용시 재능을 중시하는 원칙 견지.
술지령 (述志令) 공포 수여받은 4현 3만 호 중 3현 2만 호를 황제에게 반환,
제위 찬탈 등 야망이 없는 충성심을 보임.
조조, 태원(太原)의 반역자 토벌, 하후연, 서황을 보내 대릉(大陵)을 포위 함락 시켜 상요(商曜)를 참수.
유비, 손권에 형주를 빌리겠다 함.
예장군(豫章郡)을 분할하여 파양군(鄱陽郡)을 만들고, 장사군(長沙郡)을 나누어 한창군(漢昌郡)을 둠.
주유, 세상을 떠남. 노숙을 태수로 임명하여 육구에 주둔 하도록 함.
손권, 보즐(​步騭)을 교주자사(交州刺史)로 임명.
211
건안16
정월 - 조조, 조비를 오관중랑장(五官中郎將 )으로 삼고 관속(官屬)을 두어 승상을 보좌도록 함.
한수, 마초 등이 반란을 일으킴.
유비, 부현에 도착. 익주목(益州牧) 유장(劉璋)이 조조가 장로를 토벌할 것이라는 소문을 들음.
유비, 익주로 들어감.
손권, 관소를 말릉현(秣陵縣)으로 옮김.
212
건안17
5월 - 조조, 마등과 그 두아들과 반란에 연좌되어 일족 모두 처형.
10월 - 조조, 유수(濡須)로 병사를 진격 시켜 손권(孫權)을 정벌하러 감.
순욱이 병으로 세상을 떠남. 시호를 경후(敬候) 라 함.
12월 - 유비, 가맹(葭萌)으로 부터 부성(富城) 까지 진출.
손권, 치소를 이릉(​夷陵)으로 옮겨 건업(建業)이라고 이름 지음.
10월 - 유수에 조조의 공격을 받음.
213
건안18
정월 - 손권, 조조와 대치. 조조, 스스로 물러감.
조조, 천하 14주를 9주(九州)로 병합.
5월 - 조조, 헌제로부터 위공(魏公)에 봉해지고 구석(九錫)을 받음.
7월 - 처음으로 위(魏)나라의 사직(社稷)과 종묘(宗廟)를 세움.
9월 - 금호대(金虎臺)를 만듬.
수로를 뚫고 장수(漳水)를 끌어들여 백구(白溝)로 들어가게 해 황하와 통하게 함.
10월 - 위군(魏郡)을 동부와 서부로 나누고 도위(都尉)를 둠.
11월 - 처음으로 상서(尙書), 시중(侍中), 육경(六卿)을 둠.
장억(장의), 군대를 연거푸 무찌르고 면죽(綿竹)을 압박.
214
건안19
정월 - 조조, 처음으로 적전(籍田) 의식을 거행.
조식이 임치후(臨​葘侯)에 봉해짐.
조조를 비방한 죄로 복황후와 두 명의 황자가 처형됨.
5월 - 유비, 성도(成都)를 포위한지 수십 일 만에 익주목 유장을 항복시킴, 익주를 평정. 익주목이 됨.
5월 - 낙성(​雒城)이 공격받음.
5월 - 손권, 환성(晥成)을 정벌함.
215
건안20
정월 - 조조, 둘째 딸을 헌제의 황후가 됨.
3월 - 조조, 장로(張魯)를 토벌 함.
장로, 조조에게 항복. 조조, 한중을 평정.
손권, 제갈근(​諸葛瑾)을 사자로 삼아 촉(蜀)으로 보냄. 유비에게 형주를 돌려받겠다 전함.
형주 동쪽 3군을 손권에게 반환.
유비와 우호관계를 맺도록 함.
촉과 상수를 경계로 형주를 가름.
감녕(​甘寧), 합비(合肥) 공격에 참가, 역병이 돌아 군대가 모두 물러남.
장료, 이모습을 보고 보병과 기병을 이끌고 급습함.
216
건안21
2월 - 조조, 업성으로 돌아옴. 하후돈(夏侯惇)을 26군의 도독으로 삼음.
조조, 손권을 정벌하려고 합비성에 도착.
5월 - 헌제가 조조의 작위를 올려 위왕(魏王)이 됨.
11월 - 조조, 손권을 정벌하러 감.
조곤(曹袞)이 평향후(平鄕侯)에 봉해짐.
조창(曹彰)이 언릉후( 鄢陵侯)에 봉해짐.
10월 - 조조, 다시 손권 토벌을 계획.
유수구 전투.
217
건안22
1월 - 거소(居巢)에 군대를 주둔 시키고 유수를 공격.
2월 - 조조, 손권을 패주시킴.
조비가 위나라 태자에 옹립됨.
사마랑(司馬朗), 하후돈, 장패(長覇)등과 오나라를 정벌하러 감. 거소(居巢)에 도착했을 때 역병이 창궐함.
유비, 장비와 마초를 한중으로 진격 시킴. 위나라에서 조흥을 보내 대항.
위와 화전함. 노숙, 46세로 세상을 떠남, 여몽이 뒤를 이음.
218
건안23
정월 - 경기(耿紀)등 허창에서 쿠데타를 도모하나 실패.
9월 - 조조, 양평관(陽平關)으로 쳐들어온 유비를 하후연(夏侯玄)에게 막게 함.
오환이 모반을 일으키자 조창이 막음.
유비, 장수들을 인솔하여 한중으로 남감.
장수 오란(吳蘭)과 뇌동(雷銅) 들을 나눠 무도(武都)로 들려 보냈으나 모두 조조 군대에 전멸.
유비, 하후연, 장합과 양평관(陽平關)에서 대치.
10월 - 손권, 오군(吳郡)에서 호랑이를 잡음.
항상 따라다니던 장세(張世)가 창으로 공격하여 사로잡음.
219
건안24
하후연, 양평(陽平)에서 전투 중 유비에게 죽임 당함.
하후연, 장합에게 동쪽을 지키게 하고 경병(輕兵)을 이끌고 남쪽을 지킴.
유비, 장합과 전투 - 장합군이 불리해 하후연은 병력의 절반을 장합에 지원.
유비, 하후연을 습격해 하후연 세상을 떠남. 시호를 내려 민후(愍侯)라 함.
조조, 하후돈을 전장군(前將軍)에 임명. 조인(曹仁)에게 번현(樊縣)에서 관우를 토벌토록 함.
위 - 한중을 잃음. 손권과 연합, 형주의 관우 격파.
한중을 공략.
봄 - 유비, 정군산(定軍山)에 진영을 구축 하후연이 군을 이끌고와 전투 하게 됨.
유비가 밤에 녹각(鹿角)을 불사르며 포위하여 하후연의 진영을 습격.
7월 - 유비, 스스로 한중왕(漢中王)이라 칭함. 유선을 태자로 삼음.
8월 - 관우, 조인을 번성에서 포위. 우금을 항복시킴.
12월 - 관우, 아들과 함께 체포 되어 손권에 참살 당함. 형주를 오에 빼앗김.
손권, 합비를 공격.
형주의 관우 공격 참살. 형주 평정. 여몽 사망, 육손이 뒤를 이음.
손권, 서상(徐詳)을 파견하여 조조를 만나 항복을 전함.
손권, 표기장군(驃騎將軍), 형주목(荊州牧)이 됨.
손교(孫皎), 세상을 떠남.
220
건안25
조조, 낙양(洛陽)에서 66세로 세상을 떠남, 시호를 무왕(武王) 이라 함.
조비가 위왕이 되고, 3월 연강(延康)이라고 연호를 바꿈.
7월 - 맹달(孟達)이 항복해 옴.
10월 - 조비, 헌제로 부터 제위를 선양 받아 제위에 오름. 연호를 황초(黃初) 라고 바꿈.
구품관인법 제정.
후한 왕조 멸망.
위 왕조 시작.
유비, 한제(漢帝:헌제獻帝)가 살해 되었다는 말을 듣고, 국상을 발표.
시호를 효민황제로 추증.
손권, 관우를 회유할 생각을 접고 참수. 그의 머리를 조조에게 보냄.
손권, 사흠(士廞)을 무창태수(武昌太守)로 삼고,
남쪽에 사섭(士燮)과 사일(士壹)의 아들을 모두 중랑장으로 임명.
220
연강
원년
延康
손권, 여대(呂)를 보내 보즐을 대신하도록 함.
보즐에게 교주의 의로운 병사 1만 명을 이끌고 장사로 나오도록 함.
220
황초
원년
黃初
11월 - 조비, 한 헌제를 산양공(山陽公)이라고 함.
12월 - 낙양에 도읍을 정함.
221
건안26
황초 2
정월 - 조비, 명당(明堂)에서 오제(五帝)를 제사 지냄
4월 6일 - 유비, 신하들의 건의를 받아들여 성도 무담산(武擔山) 남쪽에서 제위에 오름,
대사면을 실시. 국호를 한(漢)이라 함.
촉한 왕조를 세워 황제가 된 유비, 소열제(昭烈帝)라 칭하고 연호를 장무로 바꿈,
장비, 살해됨, 오를 침공
손권, 위나라에 사자 형정(邢貞)을 통해 대장군 작위를 받고 오왕(吳王)으로 봉해짐. 촉군 침입함.​
손등(孫登 - 손권의 장남), 동중랑장(東中郎將)이 되고 만호후(萬戶侯)에 임명됨.
221
장무
원년
章武
제갈량, 승상으로 임명. 허정(許靖)이 사도(司徒)로 임명.
장비, 거기장군(車騎將軍)으로 승진, 사례교위(司隸校尉)를 겸임, 서향후(西鄕侯)에 봉해짐.
마초가 표기장군(驃騎將軍)으로 승진, 양주목(涼州牧)을 겸임 태향후(斄鄕侯)에 봉해짐.
6월 - 유영(劉永)이 노왕(魯王)으로 봉해짐. 유리(劉理)가 양왕(梁王)으로 봉해짐.
7월 - 유비가 오나라 정벌군을 일으킴. 이 직전에 장비가 부하에게 살해 됨.
222
황초 3
장무 2
황무
원년
조식, 견성왕(鄄城王)으로 세워짐.
윤달 6월 - 유비, 오나라 군 육손에 대패하여 영안(永安)에 주둔.
9월 - 손권이 맏아들을 인질로 보내지 않자, 조비가 세방면에서 오나라를 공격.
12월 - 유비, 와병 중에 한가 태수(漢嘉太守) 황원(黃元)이 병사를 일으킴.
마초, 47세로 생을 마감. 유파(劉巴), 세상을 떠남.
이엄(李嚴), 상서령(尙書令)으로 임명.
독자 연호를 사용.
육손, 이릉대전 유비 격파.
손권, 사자 정천(鄭泉)을 보내 촉과 외고 관계를 복원. 국교 수복
223
황초 4
장무 3
황무 2
조식, 옹구왕(雍丘王)에 봉해짐.
조인, 56세 나이로 세상을 떠남. 시호를 충후(忠侯)라고 함.
보도근(步度根)이 위나라 조정으로 와서 공물을 바침.
봄 2월 - 제갈량이 성도에서 영안으로 옴.
2월 - 황원이 병사를 진군시켜 임공현(臨邛縣)을 공격. 유비, 장군 진홀(陳曶)을 파견 황원을 토벌하고 참수함.
유비, 질병이 심해져 제갈량에게 아들을 부탁하고 상서령 이엄에게 보좌도록 함.
4월 - 유비 영안궁(永安宮)에서 병으로 생을 마감, 유선(후주) 즉위. 제갈량 승상으로 보좌.
위연(魏延), 도정후(都亭侯)에 봉해짐.
봄 정월 - 손권, 사분력(四分曆)을 건상력(乾象曆)으로 바꿈.
위와 국교 단절.
223
건흥
원년
建興
5월 - 유선이 즉위하고 연호를 건흥으로 바꿈.
목후(穆侯)를 존경하여 황태후(皇太后)라고 하고 거주하는 궁전을 장락궁(長樂宮)이라고 함.
10월 - 등지(鄧芝)를 오나라에 파견하여 우호 관계를 굳건히 함.
익주 호족 옹개(雍闓)가 반란을 일으킴.
조운, 중호군(中護軍), 정남장군(征南將軍)으로 임명되고 영창정후(永昌亭侯)에 봉해졌다 진동장군(鎭東將軍)됨.
제갈량, 문무관원들을 소집하여 회의를 열고, 장완(蔣琬)을 초빙하여 동조연(東曺椽)으로 임명.
224
황초 5
건흥 2
황무 3
4월 - 태학(太學)을 세우고 오경(五經)의 시험방법을 제정.
농경에 힘쓰게 하고 월수(越嶲)로 통하는 관문을 닫아 백성을 쉬게함.
여름- 손권 보의중랑장(輔義中郞將) 장온(張溫)에게 촉을 방문하도록 함.
225
황초 6
건흥 3
황무 4
조비, 조식의 궁전에 행차하여 식읍 5백호를 늘려 줌.
봄 - 제갈량, 남만 정벌 행함.
남중(南中)의 4군을 평정하고 12월에 돌아옴.
여름 5월 - 승상(丞相) 손소(孫邵), 세상을 떠남.
6월 태상(太常) 고옹(顧雍), 승상이 됨.
12월 - 파양(鄱陽)의 도적 팽기(彭錡), 무리를 모아 군현을 공격해 점령. 위나라를 위해 오나라를 토벌 선언.
226
황초 7
건흥 4
황무 5
5월 - 조비, 위독하여 조예(曹叡)를 태자로 옹립.
중군대장군 조진(曹眞), 진군대장군 진군(陳群), 정동대장군 조휴(曹休), 무군대장군 사마의(司馬懿)에게
유조(遺詔)를 주어 어린 임금을 보좌도록 함.
조비(문제) 가복전(嘉福殿)에서 40세로 세상을 떠남. 조예(명제) 즉위함.
도호(都護) 이엄, 영안에서 돌아와 강주(江州)에 주둔하며 큰 성을 쌓음.
사섭, 90세 나이로 세상을 떠남.​
가을 7월- 손권, 위 조비(문제)의 죽음을 듣고 강하를 치고 석양을 포위했지만 함락시킬 수는 없오 돌아옴.
창오에서 봉황이 출현했다는 보고가 들어옴.
손권, 세군(단양, 오군, 회계)의 열악한 땅 10현을 분할하여 동안군을 설치함.
전종, 태수로 임명. 산월을 토벌하여 평정함.
227
태화
원년
太和
건흥 5
황무 6
정월 - 조예가 교외에서 하늘에 제사 지낼 때 무황제(武皇帝)를 함께 제사 지내고,
명당에서 문황제(文皇帝)를 제사 지낼 때 상제(上帝)도함께 제사 지냄.
봄 - 제갈량, 한중에 주둔하고 면수 북쪽의 양평군(陽平郡) 석마현(石馬縣)에 진영을 설치.
북쪽 한중에 주둔하다 출전하면서 <전출사표>를 올림.
위연, 승상 사마(丞相司馬), 양주자사(涼州刺史) 겸임.
봄 정월 - 파양태수(鄱陽太守) 주방(周魴), 팽기의 반란을 진압, 체포. 이 공으로 소의교위(昭義校尉)에 임명됨.
12월 - 한당의 아들 한종, 병사들을 인솔하여 위나라로 투항.
228
태화 2
건흥 6
황무 7
정월 - 사마의가 신성(新城)을 토벌하고 맹달의 반란을 토벌. 참수하여 그머리를 보냄.
조예가 오나라를 정벌하려고 사마의를 보내 군사를 이끌고 한수(漢水)를 따라 내려가도록 함.
봄 - 제갈량,기산(祁山)을 공격 했지만 승리하지 못함.
겨울 - 제갈량, 다시 산관(散關)으로 출병하여 진창(陳倉)을 포위 하지만 식량을 전부 소비해 퇴각함.
제갈량, 마속을 참수.
육손, 석정에서 위의 조휴를 격파.
봄 3월 - 손권, 아들 손려(​孫慮), 건창후(建昌侯)에 임명 동안군을 없앰.
부친 파로장군(破虜將軍) 손견을 추존하여 시호를 무열황제(武烈皇帝)라 함.
형 토역장군(討逆將軍) 손책의 시호를 장사환왕(長沙桓王)이라 함.
229
태화 3
건흥 7
황룡
원년
黃龍
봄 - 제갈량, 진식(陳式)을 파견 하여 무도(武都)와 음평(陰平)을 공격하여 승리하고 2 군을 평정함.
손권이 제(帝)라 칭하고, 촉(蜀)과 동맹을 맺어 천하를 나누어 통치하기로 협약.
조운, 세상을 떠남.
유선, 진진(陳震)을 위위(衛尉)로 삼아 손권의 즉위를 축하하도록 함.
4월 - 원성왕(元城王) 조례(曹禮), 세상을 떠남.
조식, 동아왕(東阿王)으로 옮겨 봉해짐.
봄 - 공경과 백관들 모두 손권에게 정식으로 제(帝)를 칭하도록 권함.
여름 4월 - 하구와 우창에서 황룡과 봉황이 출현했다는 보고.
7일 - 손권, 남쪽 교외에서 황제에 즉위(대제).
대사면을 실시하고 연호를 황룡으로 바꿈. 수도를 건업으로 옮김.
230
태화 4
건흥 8
정월 - 합비 신성을 지음.
2월 - 조진을 대사마(大司馬)에, 사마의를 대장군에, 공손연(公孫淵)을 거기장군에 임명.
가을 사마의, 서성(西城)을, 장합, 자오(子午)를, 조진, 야곡(斜谷)을 경유하도록 하여 한중을 공격하려고 함.
노왕 유영을 감릉왕​(甘陵王)으로 삼고, 양왕 유리를 안평왕(安平王)으로 바꾸어 봉함.
위연, 서쪽의 강중(羌中)으로 진입.
231
태화 4
건흥 9
황룡 3
정월 - 조예가 직전 의식을 행함.
봄 2월 - 제갈량, 다시 군사를 내어 기산을 포위하고 구원하러 온 사마의를 목우(木牛)를 이용하여 대패시킴.
3월 - 조진이 세상을 떠남.
6월 - 식량부족으로 철수하다 추격해온 위나라 장수 장합을 죽임.
사마의, 천수(天水)로 침공한 제갈량을 막음.
건창후 손려, 진군대장군(​鎮軍大將軍)에 임명되어 반주(半州)에 주둔.
봄 2월 - 태상 반준(潘濬)을 파견, 병사 5만 명을 이끌고 무릉의 이민족을 토벌하도록 함.
위온(衛溫)과 제갈직(諸葛直)은 모두 조서를 거스름 공로가 없었으므로 하옥되어 주살됨.
중랑장(中郞將) 손포(孫布), 거짓 투항하여 위나라 장수 왕릉(王淩)이 영접하도록 유인.
겨울 10월 - 손권, 왕릉을 기다리며 잠복. 왕릉, 알아채고 도망.
12월 - 대사면을 시행, 다음해부터 연호를 가화로 바꾼다 발표.
232
태화 6
건흥10
가화
원년
嘉禾
조흥(曹洪), 세상을 떠남. 시호(恭侯)를 공후 라고 함.
제갈량이 황사(黃沙)에서 농경을 장려하고 병사를 훈련시키며 군사(軍事)를 가르침.
11월 - 진사왕(陳思王) 조식, 세상을 떠남.
봄 정월 - 손려, 세상을 떠남.
손등, 건업으로 도읍을 옮김.
3월 - 장군 주하, 교위 배잠을 파견하여 뱃길로 요동으로 가도록 함.
가을 9월 - 위나라 장수 전예, 이들을 맞아 반격. 성산에서 주하의 목을 침.
겨울 10월 - 요동태수 공손연, 교위 숙서와 낭중령 손종을 파견. 손권에게 번국이라고 칭하고,
모피와 준마를 바침.
손권, 매우 기뻐하며, 공손연에게 작위를 줌.
233
청룡
원년
靑龍
건흥11
가화 2
정월 - 조예가 연호흫 청룡으로 바꿔 사용.
겨울 - 제갈량, 야곡의 저각(邸閣)에 군량미를 비축.
3월 - 공손연, 손권이 파견한 사자의 목을 베 위나라로 보내고, 재물과 병사를 탈취 함.
손권, 합비 신성으로 진격하며 전종(全琮)을 파견, 육안(六安)을 정벌하도록 했지만,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옴
공손연에 분노한 손권, 직접 정벌하려 했으나, 상서복야(尙書僕射) 설종(薛綜) 등이 간절히 간언하여 그만둠. ​
234
청룡 2
건흥12
가화 3
사마의, 오장원(五丈原)에서 촉의 제갈량과 대치.
봄 2월 - 제갈량, 야곡에서 오장원으로 진격 위남에서 사마의와 대치.
3월 - 헌제, 유협(劉協)이 세상을 떠남.
가을 8월 - 제갈량, 대치 중 위빈(渭濱)에서 생을 마감.
위연, 제갈량 사후 선봉으로 회군 지시를 어기고 내분을 일으켜 마대에게 머리를 잘림 .
(위연은 양의의 지휘를 받기를 거부, 잔도를 끊어 양의 등이 퇴각하는 것을 방해했다고함)
위연과 양의는 서로 표를 올려 상대방이 반란을 일으키려 했다고 주장하고 싸우게 됨.
강유, 성도(成都)로 돌아와 우감군(右監軍) 보한장군(輔漢將軍)이 되어 제군(諸軍)을 통할하고
평양후(平襄侯)로 봉해짐.
봄 정월 - 손권, 다음과 같은 조서를 내림
「전쟁이 장기간 그치지 않아 백성들은 부역으로 고통을 당하며, 세금이 간혹 거두어지지도 아니하니,
각종 세금을 느슨하게 하고 다시는 재촉하여 징수하지 말라.」
여름 5월 - 손권, 육손과 제갈근 등을 파견해 강하, 면구에 주둔하게 함.
8월 - 제갈각, 단양태수를 겸임 산월을 토벌하고 평정.
겨울 11월 - 여릉의 도적 이환과 나려 등이 반란을 일으킴.
마지막 후한 황제 헌제 세상을 떠남.
235
청룡 3
건흥13
가화 4
정월 8일 - 대장군 사마의 태위에 임명됨
조예가 낙양궁(洛陽宮)을 대대적으로 수리
봄 정월 양의(​楊儀), 파면되어 한가군으로 쫓겨남
4월 -장완이 대장군이 됨
양의, 인사를 비방하다 군(軍)에서 잡으로 오자 자결함
여름 - 여대(呂岱)를 파견, 이환(李桓) 등을 토벌하게 함.
가을 7월 - 우박이 내림. 손권, 위나라 사자가 말(馬)을 진주, 비취, 대모와 교환하길 원해 말을 받고 교역.
236
청룡 4
건흥14
가화 5
4월 - 숭문관(崇文館)을 설치하고 문장가를 불러 임용.
여름 4월 - 유선, 전현(湔縣)으로 가서 문수(汶水)의 흐름을 보고, 열흘 후 성도로 돌아옴.
손권, 북쪽을 정벌하려 육손과 제갈근에게 양양(襄陽)을 공격 하도록 함.
겨울 10월 - 파양의 도적 팽단 등이 반란을 일으킴.
237
경초
원년
景初
건흥15
가화 6
3월 - 청룡 5년 3월을 경초 원년 4월로 바꿈
요동의 공손연이 반기를 듦
조예가 관구검(毌丘儉)에게 명하여 공손연을 토벌토록 하나 실패
6월 - 유선의 황후 장씨, 생을 마감
2월 - 육손, 팽단 등을 토벌하여 평정
겨울 10월 - 위장군 전종을 파견하여 육안을 습격. 공략하지 못함.
제갈각, 산월을 평정하는 일을 마친 후, 북쪽으로 여강에 주둔.
238
경초 2
연희
원년
延熙
가화 7
정월 - 사마의가 공손연의 반란을 토벌하거 감.
봄 정월 - 황후 장씨(이전황후의 여동생)를 세움.
대사면을 시행하고 연호를 연희로 바꿈.
아들 유선(劉璿)을 태자로 삼고, 둘째 아들 유요(劉瑤)를 안정왕으로 삼음.
6월 - 양평에서 공손연 포위.
여름 - 여대가 여릉의 적을 토벌하고 육구로 돌아옴.
8월 - 공손연 참수 됨.
공손연 반란, 사마의에 진압.
요동, 대방, 낙랑, 현도 4군이 위나라 세력권이 됨.
11월 - 장완, 한중에 주둔.
238
적오
원년
赤烏
가을 8월 - 무창에서 기린이 출현했다고 보고. 연호를 적오로 바꿈.
239
경초 3
연희 2
적오 2
2월 - 사마의 태부(太傅)가 되어 실권에서 멀어짐.
봄 3월 - 장완이 대사마(大司馬)로 승진.
봄 3월 - 손권, 사자 양도(羊茞), 정주(鄭冑), 장군 손이(孫怡)를 요동으로 파견,
위나라 수장(守將) 장지(張持), 고려(高慮) 등을 공격하게 하여 남녀를 포로로 잡음.
여름 5월 - 사이(沙羨)에 성벽을 세움.
겨울 10월 - 장군 장비(蔣秘), 남쪽으로 이민족을 토벌함.
장군 여대와 당자(唐咨)를 파견하여 토벌하도록 했는데, 1년여 만에 모두 격파시킴.
12월 - 조예(명제), 세상을 떠남. 조방(소제) 즉위.
사마의와 조상은 후견인이 됨.
조방(曹芳)이 황제가 되어 대사면을 행함.
240
정시
원년
正始
연희 3
적오 3
조방, 궁중의 금은으로 만든 그릇을 녹여 군비에 충당할 것을 명함.
월수 태수(越嶲太守) 장억(장의)(張嶷)에게 월수군을 평정하라고 명함.
봄 정월 - 손권, 부역으로 백성을 괴롭히는 관리를 적벌하여 보고하란 조서를 내림.
4월 - 대사면을 실시, 여러 군과 현에 성곽을 수리하고 망루를 만들어 참호나 굴을 파서 도적들을 대비하도록 함.
겨울 11월 - 기근이 생기자 창고를 열어 백성을구제.
241
정시 2
연희 4
적오 4
2월 - 조방이 처음으로 논어(論語)를 읽고, 공자 제사지내도록 하고, 안연(顔淵)을 합쳐서 제사지냄.
봄 정월 - 대설이 내림 (평지에도 3척이나 쌓였고, 날짐승과 들짐승 중에서 태반이 죽음).
여름 4월 - 위장군 전종을 파견하여 회남을 공략. 그곳의 백성들을 거둬들임.
위북장군 제갈각이 육안을 공격. 전종과 위나라 장수 왕릉(王淩)이 작파에서 전쟁.
중랑장 진황(秦晃) 등 10여 명이 전사함.
거기장군 주연이 번성을 포위, 대장군 제갈근이 조중(柤中)을 취함.
5월 - 태자 손등이, 세상을 떠남. 손화(孫和-손권의 삼남)를 태자로 책봉.
5월 - 위나라 태부 사마선왕이 번성을 구원함.
6월 - 군대가 돌아옴.
윤달 6월 - 대장군 제갈근, 6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남.
가을 8월 - 육손, 주에 성을 쌓음.
겨울 10월 - 비의(費禕), 한중에 도착하여 장완과 정무를 상의하고 연말이 되어 돌아옴.
242
정시 3
연희 5
적오 5
정월 - 동평영왕(東平靈王) 조휘(曹徽)가 세상을 떠남.
봄 정월 - 강유, 한중에서 돌아와 부현에 주둔.
3월 - 태위 만총(滿寵), 세상을 떠남.
봄 - 손화가 오군 태수가 됨.
8월 - 손패(孫覇-손권의 넷째 아들) 노왕(魯王)이 됨.
243
정시 4
연희 6
적오 6
7월 - 조진 이하 공신 20명을 태묘(太廟)묘에서 제사 지냄
겨울 10월 - 대사마 장완, 한중에서 돌아와 부현에서 삶.
11월 - 대사면을 실시. 상서령의 비의를 대장군 삼음.
봄 정월 - 산도군에서 백호가 나타났다는 보고.
제갈각, 육안을 정벌, 위나라 장수 사순의 진영을 격파. 그 곳 백성들을 수용함.
겨울 11월 - 승상 고옹, 세상을 떠남.
244
정시 5
연희 7
적오 7
대장군 조상(曹爽), 하후연이 군대를 일으켜 촉을 공격하나 성과를 얻지 못함.
윤달 - 왕평(王平), 한중으로 향한 위나라 조상과 하후현에 저항, 대장군 비의가 물리침.
봄 정월 - 상대장군(上大將軍) 육손(陸遜), 고옹을 대신하여 승상으로 임명됨.
245
정시 6
연희 8
적오 8
고유(高柔), 사도(司徒)가 됨.
가을 8월 - 황태후, 생을 마감. 목후가 세상을 떠나자 유비의 혜릉(惠陵)에 합장.
봄 2월 - 육손, 손권에게 무고한 죄를 문책 받고 분사.
7월 - 장군 마무(馬茂) 등이 모반을 꾀함, 삼족이 멸함.
8월 - 대사면을 시행.
246
정시 7
연희 9
적오 9
2월 - 관구검이 고구려를 공격 환도(丸都)를 함락하고, 5월 예맥(濊貊)을 쳐부숨.
봄 2월 - 거기장군(車騎將軍) 주연(朱然), 위나라의 조중(租中)과 번성 일대를 공격.
천여 명의 머리를 베고 포로를 잡음.
여름 6월 - 비의가 성도로 돌아옴.
가을 - 대사면을 시행.
가을 9월 - 표기장군 보즐, 육손을 대신하여 승상이됨.
거기장군 주연이 좌대사마(左大司馬)로, 위장군 전종​(全琮)이 우대사마(右大司馬)로,
진남장군 여대가 상대장군으로, 위북장군(威北將軍) 제갈각(諸葛恪)이 대장군으로 임명.​
겨울 11월 - 대사마 장완이 생을 마감.
247
정시 8
연희10
적오10
조상이 하안(何晏), 등양(鄧颺) 등에게 정치를 전담하게 함.
사마의가 병을 칭하고 청치에서 나서지 않음.
양주의 호왕(胡王), 백호문(白虎文), 치무대(治無戴) 등이 무리를 인솔하여 투항.
위장군(衞將軍) 강유가 그들을 번현(繁縣)에 거주 시킴.
봄 정월 - 우대사마 전종이 세상을 떠남.
2월 - 손권, 남궁으로 감.
3월 - 태초궁을 개축.
여름 5월 - 승상 보즐, 세상을 떠남.
겨울 10월 - 사형수들을 대사면.
248
정시 9
연희11
적오11
봄 정월 - 주연이 강릉에 성벽을 쌓음.
2월 - 여러 차례 지진이 발생함.
3월 - 건업궁(建業宮) 완성.​
4월 - 서막(徐邈)이 사도를 고사 하자 왕릉(王凌)이 사도가 됨.
봄 5월 대장군 비의가 한중에 주둔. 가을에 부릉군(涪陵郡 ) 속국 (屬國) 백성과 이적이 모반하자,
거기장군 등지가 가서 모두를 격파 시켜 평정.
249
정시10
연희12
적오12
정월 - 조방은 명제 조예의 무덤에 참배를 드리러 고평릉高平陵 떠남.
사마의, 쿠데타. 조상일당 처형.
봄 정월 - 우장군 하후패가 투항해옴.
봄 3월 - 좌대사마 주연,세상을 떠남.
여름 4월 - 대사면을 시행함.
4월 - 연호를 가평으로 바꿈.
9월 - 표기장군 주거(朱據), 승상을 대리.
가을 위장군 강유, 옹주를 공격 하지만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옴.
장군 구안​(句安)과 이소(李韶)가 위나라에 투항함.
249
가평
원년
嘉平
12월 왕릉이 태위가 되고, 손례가 사공이 됨.
250
가평 2
연희13
적오13
유방(劉放)이 세상을 떠남.
강유가 가시 서평(西平)으로 출격하지만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옴.
8월 - 손권, 태자 손화를 폐위하고 고장에 구류.
노왕 손패에게 자결을 명함.
11월 - 손권, 막내 손량을 태자로 세움. 전씨(全氏)를 태자비로 삼음.
손량, 태자로 세워지자, 반 부인(潘夫人)이 언니를 출가시키기를 청하여 손권이 허락함.
251
가평 3
연희14
태원
원년
太元
정월 - 형주 사자 왕기(王基)가 오나라 이릉(夷陵)을 공격.
3월 - 사마부(司馬孚)가 사공이 됨.
4월 - 태위 왕릉의 반란 사마의 타도 실패 자결함.
사마의, 세상을 떠남. 사마사 뒤를 이음.
여름 - 대장군 비의가 성도로 돌아옴.
겨울 - 다시 북상하여 한수(漢壽)에 주둔.
여예(呂乂)가 생을 마감.
여름 5월 - 손량의 모친 반씨(潘氏)를 황후로 세움. 대사면 실시. 연호를 태원으로 바꿈.
겨울 11월 - 대사면을 실시. 손권, 남쪽 교외에서 제사를 지내고 돌아와 풍질(風疾)로 병상에 누움.
12월 - 역마로 대장군 제갈각을 불러 태자태부(太子太)로 삼고,
회계 태수(會稽太守) 등윤을(滕胤)을 태상으로 임명.
조서를 내려 부역을 줄이고 부세를 감소시켜 백성들의 고통과 근심을 제거하도록 함.
252
가평 4
연희15
태원 2
신봉
원년
神鳳
정월 사마사 대장군이 됨.
봄 정월 - 이전 태자 손화, 남양왕(南陽王)으로 임명하여 장사에 머물도록 함.
손분(孫奮-손권의 다섯 번째 아들), 제왕(齊王)으로 임명. 무창에 거주하도록 함.
손휴(孫休-손권의 여섯 번째 아들), 낭야왕(琅邪王) 임명. 호림에 거주하도록 함.
2월 - 대사면을 실시, 연호를 신봉으로 바꿈. 황후 반씨가 세상을 떠남.
4월 - 손권(대제), 세상을 떠남. 손량(폐제), 제위를 계승하고 연호를 건흥으로 바꿈.
제갈각 정권을 장악.
아들 유종(劉琮)을 세워 서하왕(西河王)으로 삼음.
252
건흥
원년
建興
제갈각, 태부에, 등윤, 위장군에. 여대, 대사마에 임명.
253
가평 5
연희16
건흥 2
4월 - 대사면을 시행.
5월 - 오나라 제갈각이 합비의 신성을 공격하자 사마부에게 막도록 지시.
봄 정월 - 대장군 비의, 투항한 위나라 사람 곽수(郭脩)에게 (한수에서) 살해됨.
4월 - 강유, 남안(南安)을 포위하지만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옴.
봄 정월 - 전씨를 황후로 세움. 대사면 실시.
3월 - 제갈각, 군대를 이끌고 위나라를 정벌하러 감.
여름 4월 - 신성을 포위, 역병이 크게 유행하여, 병졸의 대다수가 죽음.
가을 8월 - 제갈각, 군대를 인솔하여 돌아옴.
겨울 10월 - 조정에서 종묘에 제사지냄. 제갈각, 손량과 모의함 .
무위장군 손준(孫峻-손량의 섭정), 복병을 두어 전당에서 제갈각을 살해.
대사면을 실시. 손준, 승상이 되고, 부춘후로 봉해짐.
11월 - 큰 새 다섯 마리가, 춘신에 나타나, 다음해부터 연호를 오봉으로 바꾸기로 함.
254
가평 6
정원
원년
正元
연희17
오봉
원년
五鳳
6월 - 사마사가 조방을 폐위, 고귀향공(高貴鄕公) 조모(曹髦)를 즉위.
연호를 정원으로 바꿈.
사마사 주살 계획 발각, 이풍 하후연등 살해.
조방(소제) 폐위, 조모가 옹립됨.
여름 - 강유, 성도로 돌아옴. 대사면을 실시.
여름 - 오나라에 대홍수가 발생함.
가을 - 손영(孫英-손등의 차남), 손준을 암살하려 모의함, 일이 발각되 자결.
255
정원 2
연희18
오봉 2
정월 - 관구검(毌丘儉)과 문흠(文欽)이 수춘에서 반란을 일으키다 실패.
문흠, 오나라에 투항 관구검은 토착민에세 살해됨.
사마소, 대장군, 녹상서사(錄尙書事)가 됨.
관구검, 문흠이 사마사 토벌군 조직, 토벌군 진압.
사마사 허창에서 세상을 떠남, 사마소가 뒤를 이음.
여름 - 강유, 군살를 이끌고 적도(狄道)로 출격.
봄 정월 - 위나라 진동대장군 관구검과 전장군 문흠, 반란을 일으켜, 회남의 군대를 이끌고 서쪽으로 칩입.
악가(樂嘉)에서 위나라 군대와 전투.
손준, 표기장군(驃騎將軍) 여거(呂據)와 좌장군(左將軍) 유찬(留贊)과 수춘을 습격.
그러나 문흠이 항복해 군대를 돌림.
가을 7월 - 장군 손의(孫儀),장이(張怡),임순(林恂) 등이 손준을 살해하려 모의함,
발각되어 손의는 자결, 임순 등은 사형에 처해짐.
256
감로
원년
甘露
연희19
오봉 3
4월 조모가 태학을 시찰
봄- 강유, 대장군으로 임명. 위를 침공. 위군에게 패함.
9월 - 손준 세상을 떠남(급사). 사촌 동생, 편장군인 손침(孫綝)이 시중,무위장군에 임명. 실권을 장악
여거, 손침에 반발.
겨울 10월 - 손헌과 정봉 시관 등을 파견, 수군을 이끌고 강도에서 여거를 맞아 공격,
장군 유승을 보내 보병과 기병을 이끌고 등윤을 공격. 등윤군의 패배하고, 그 일족을 살해됨.
대사면을 실시하고, 연호를 바꿈.
여거를 신주에서 체포함.
256
태평
원년
太平
11월, 손침을 대장군,가절로 임명, 영녕후로 봉함.
손헌, 장군 왕돈과 손침을 살해하려 모의를 했지만, 일이 발각됨.
손침은 왕돈을 죽이고, 손헌에게는 자결하도록 함.
12월, 오관중랑장 조현을 사자로 하여 오나라에 반란이 일어났음을 촉에 알리도록 함.
257
감로 2
연희20
태평 2
낙상(樂詳)이 90여 세에 두기(杜畿)의 공적을 글로 올림.
5월 제갈탄, 수춘(壽春)을 점거. 오와 결탁 반란을 일으키나 진압됨.
강유, 반란 소식을 듣고 다시 병사들을 이끌고 낙곡(駱谷)에서 출전하여 망수(芒水)에 이름.
봄 2월 - 장사군 동쪽을 상동군(湘東郡), 서쪽을 형양군(衡陽郡),
회계 동쪽을 임해군(臨海郡), 예장 동쪽을 임천군(臨川郡)이라고 함.
4월 - 위나라의 정동대장군(征東大將軍) 제갈탄(諸葛誕), 회남(淮南)에서 거병하여 오나라에 구원을 요청.
5월 - 제갈탄, 회남의 군대를 인솔하여 수춘성을 지킴,
장군 주성을 보내 신하라고 칭하며 상소를 올림,
또 아들 제갈정, 장사 오강등 많은 군문의 자제들을 인질로 보냄.
위의 제갈탄의 반란에 원군 지원.
258
감로 3
경요
원년
景耀
태평 3
2월 - 사마소가 수춘성을 함락 시키고 제갈탄을 참수.
청룡과 황룡이 돈구현(頓丘縣), 관군현(冠軍縣), 양하현(陽夏縣)의 경계 지역에 우물에서 번번히 나타남.
강유, 설도로 돌아옴. 사관이 경성(景星-상서로운 별)이 나타났다고 전해 대사면을 시행하고 연호를 바꿈.
환관 황호(黃皓), (처음으로) 정권을 잡음.
봄 정월 - 제갈탄, 수춘성(壽春城) 내에서 문흠을 죽음.
2월 - 수춘성이 함락 되고 제갈탄은 도망을 실패하여 살해됨.
3월 - 사마문왕이 수춘을 함락함. 제갈탄의 측근은 전사했고, 장수나 군리 이하는 모두 항복함.
가을 7월 - 손분을 장안후로 봉함.
8월 - 손량, 손침의 전횡과 방자함을 보다못해 장인인 태상(太常) 전상(全尙)과
그 아들 황문시랑(黃門侍郞) 전기(全紀), 장군 유승(劉丞)과 함께 손침 주살을 모의함.
9월 - 손침은 전상을 체포, 동생 손은을 보내 창용문 밖에서 유승을 죽이도록 함,
손침, 손량을 폐위시켜 회계왕(會稽王)으로 봉해 쫓아내, 손휴(孫休) (경제)를 영접하여 즉위 시킴.
손침, 승상이 됨.
258
영안
원년
永安
손호(孫皓-손권의 셋째 아들인 손화의 서장자), 오정후(烏程侯)에 봉해짐.
손호의 동생 손덕(孫德)은 전당후(錢唐侯)로, 손겸(孫謙)은 영안후(永安侯)로 봉해짐
손휴, 손침이 역모했다는 보고를 듣고 모살을 계획.
12월 - 손침, 손휴의 명을 받은 정봉(丁奉), 장포(張布)에게 체포되어 그날 중에 처형됨.
259
감로 4
경요 2
영안 2
10월 - 신성군(新城郡)을 분할하고 상용군(上庸郡)을 다시 설치함.
여름 6월 - 아들 유심(劉諶-유선의 다섯째 아들), 북지왕(北地王)이 됨.
유순(劉恂-여섯째 아들), 신흥왕(新興王)이 됨.
유건(劉虔-일곱째 아들), 상당왕(上黨王)이 됨.
구경(九卿-아홉 대신)의 관제를 갖춤.
260
감로 5
경원
원년
景元
경요 3
영안 3
5월 - 위 황제 조모,사마소의 전횡을 못 참고 주살하려다 실패하고 자결함
6월 - 상도향공(常道鄕公) 조환(曹奐)[원제]이 즉위. 연호를 경원으로 바꿈
가을 9월 - 유선, 고인이 된 장군 관우, 장비, 마초, 방통, 황충의 시호를 추증함
회계군에서 손량이 수도로 돌아가 천자가 되어야 한다는 뜬소문이 돌자
손량은 후관후(​候官侯)로 폐출 되어 다른 봉국으로 보내짐.
손량, 가는 도중 자결함, 호송을 담당했던 관리는 처형됨.
261
경원 2
경요 4
영안 4
7월 예맥과 한(韓)이 위나라에 조공을 바치러 옴.
봄 3월 - 유선, 고인이 된 장군 조운의 시호를 순평후(順平侯)로 추증함.
10월 - 대사면을 시행함.
가을 8월 - 광록대부(光祿大夫) 주혁(周奕), 석위(石偉) 파견하여
나라를 순시하며 풍속을 살피게 하고, 장수와 관리들의 청렴함과 혼탁함, 백성들의 질곡을 살피도록 함.
262
경원 3
경요 5
영안 5
봄 정월 - 서하왕 유종, 세상을 떠남.
7월 - 사마소가 혜강(嵇康)을 살해함.
10월 - 촉의 대장 강유, 위 나라 조양(洮陽)을 침입.
8월 -​황후(皇后)로 주씨(朱氏)를 세움. 아들 손만(孫[單雨])을 태자로 세우고, 대사면을 시행했다.
(만자는 손만을 위한 이름 글자 單+雨 하나로 합쳐 쓰인 글자 이다. 孫𩅦이라고 표 하기도 한다고 한다)
겨울 10월 - 위장군(衛將軍) 복양흥(濮陽興), 승상(丞相)으로 임명,
정위(廷尉) 정밀(丁密), 광록훈(光祿勳) 맹종(孟宗)을 좌우어사대부(左右御史大夫)로 임명.
263
경원 4
경요 6
영안 6
여름 4월 - 천릉(泉陵)에서 황룡이 나타났다는 보고.
5월, 교지군(交阯郡)의 관리(吏) 여흥(呂興)등이 모반하여 태수(太守) 손서(孫諝)를 살해.
겨울 10월 - 촉나라에서 위나라의 공격을 받고 있음을 알려옴
대장군(大將軍) 정봉에게 군대를 인솔하여 위나라 수춘(壽春)으로 향하도록 하고,
장군 유평(留平)에게는 남군(南郡)의 시적(施績)을 찾아가 군대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상의하도록 함,
장군(將軍) 정봉(丁封)과 손이에게 면중(沔中)으로 가도록 함.
8월 - 종회, 등애, 재갈서가 명을 받아 촉을 공격
8월 - 위나라에서 공격해 오자 강유, 장익, 요화, 동궐 등이 막음
(다시 부흥을 시키기를 원해) 연호를 염흥(炎興)으로 바꿈
263
경원 4
염흥
원년
炎興
영안 6
11월 - 유선, 초주(譙周)의 계책을 따라 등애에게 사자를 보내 항복을 청함. 그 편지를 극정(郤正)이 집필함.
촉나라 멸망.
촉나라 군주 유선이 위나라에 항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이후에 병사를 철수시킴.
12월 - 곽황후(郭皇后), 세상을 떠남.
사마소, 상국진공이 됨.
264
경원 5
영안 7
정월 15일 - 종회, 곽황후의 유령(遺令-사후에 남긴 명)이라며 사마소 토벌 선언.
5월 연호를 함희로 바꿈.
사마소, 진왕이 됨.
강유, 종회와 위나라에 반기를 드나 실패, 세상을 떠남.
유선, 낙양으로 옮겨 안락공으로 여생을 보냄.
오 - 손휴(경제), 30세로 세상을 떠남.
손호, 즉위. 연호를 바꾸고 대사면을 실시
264
원흥
원년
元興
9월 - 태후를 경황후(景皇后)로 낮추고, 어머니 하씨(何氏)를 존중하여 태후(太后)로 올림.
10월 - 손휴의 태자 손완을 예장왕(豫章王)으로 임명하고,
둘째 아들을 여남왕(汝南王), 셋째 아들을 양왕(梁王), 넷째 아들을 진왕(陳王)으로 삼음
11월 - 복양흥과 장포가 주살됨
264
함희
원년
咸熙
9월 사마염(司馬炎),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이 됨.
265
함희 2
태시
원년
泰始
원흥 2
감로
원년
甘露
사마소, 세상을 떠남, 태자 사마염 뒤를 이음.
사마염, 조환(원제)에게 제위를 선양 받고 (무제)즉위. 연호를 태시로 바꿈.
위나라 멸망. 조환이 진류왕에 봉해짐.
진 왕조 성립.
여름 4월 - 장릉에서 감로가 내렸다는 보고. 연호를 바꾸고 대사면을 실시.
266
태시 2
감로 2
보정
원년
寶鼎
진과 오, 단교하다.
곽익(霍弋), 오나라의 교지태수 손서를 죽이고 위나라에 귀부한 여흥(呂興)을 도와,
교지(交趾)일남(日南)구진(九眞) 3군(軍) 평정하고 열후(列侯)에 봉해짐
정월 - 대홍려(​大鴻臚) 장엄(張儼)과 오관중랑장(五官中郎将) 정충(丁忠)을 파견하여,
진 문제의 죽음에 조의를 표하도록 함. 돌아올 때, 장엄은 길에서 병사함.
8월 - 각지에서 커다란 솥이 발견되었다는 보고. 연호를 바꾸고 대사면을 실시.
육개(陸凱), 좌승상(左丞相)이 되고,만욱(萬彧)이 우승상(右丞相)이 됨.
12월 - 손호, 수도를 건업으로 회복, 위장군 등목(滕牧)을 무창에 남겨 지키게 함.
267
보정 2
봄 - 대사면을 실시. 우승상 만욱이 장강을 거슬러, 파구에 주둔하여 지킴
여름 6월 - 현명궁을 수축함.
겨울 12월 - 손호, 현명궁으로 이주하여 머무름.
예장,여릉,장사를 분할하여 안성군을 만듦.
268
태시 4
보정 3
곽익, 교지를 치러 온 오 군대를 격파함.
봄 2월 - 좌우 어사대부(御使大夫) 정고(丁固)와 맹인(孟仁), 사도(司徒), 사공(司空)이 됨.
손호, 정봉에게 제갈정(諸葛靚)과 함께 합비를 공격하라고 명함.
가을 9월 - 손호, 동관으로 출전, 정봉은 합비에 도착.
교주자사 유준(劉俊) 전부독 수칙(脩則) 등이 교지를 습격,
진나라 장수 모경(毛炅) 등에게 격파당해 모두 죽어 병사들은 흩어지고 합포로 돌아옴.
손호, 양양을 공략하나 실패 함.
269
태시 5
건형
원년
建衡
옹주(雍州), 양주(凉州), 양주(梁州)를 잘라내어 진주(秦州)를 설치. 호열​(胡烈), 진주자사가 됨.
양호(羊祜), 사마염에게 오나라를 치려면 장강에서 싸울 수군이 필요하다고 건의.
봄 정월 - 아들 손근(孫瑾)을 태자로 세우고, 별도로 회양왕(淮陽), 동평왕(東平)을 세움.
겨울 10월 - 연호를 바꾸고 대사면을 실시.
11월 - 좌승상 육개, 세상을 떠남.
감군 우사(虞汜), 위남장군 설후(薛珝) 창오 태수 도황(陶璜)을 파견, 형주에서 출발도록 하고,
감군 이욱(李勖) 독군 서존(徐存)에게는 건안에서부터 바닷길로 출발도록 하여 모두 합포에 도착해 교지를 공격하도록 함.
270
태시 6
건형 2
선비족 독발수기능의 난.
호열, 도발수기능(禿髮樹機能)에게 전사.
사마염, 나헌(羅憲)을 잃음.
봄 - 만욱이 무창에서 건업으로 돌아옴.
이욱은 건안 길이 통하지 않아 불편했으므로, 길 안내를 맡았던 장수 풍비(馮斐)를 살해하고 군대를 인솔하여 돌아옴.
여름 4월 - 좌대사마 시적, 세상을 떠남.
9월 - 하정이 장수와 병사 5천 명을 이끌고, 장강을 거슬러 올라가 하구에서 사냥을 함.
도독 손수(孫秀)가 진나라로 달아남. 이 해에 대사면을 실시했다.
손호의 좌부인(左夫人) 왕씨, 세상을 떠남. 손호, 슬퍼하며 아침저녁으로 곡을 하고 몇 달 동안 밖으 나가지 않음.
271
태시 7
건형 3
사마염, 곽익을 잃음.
견홍​(牽弘), 독발수기능에게 전사.
유선, 세상을 떠남.
봄 정월 - 손호는 많은 사람들을 동원해 화리(華里)까지 손호의 어머니와 비첩도 모두 동행하여 나왔으나,
동관의 현령 화핵(華覈)등이 강경하게 저항하여, 이내 돌아옴.
이 해, 우사와 도황이 교지를 격파하고, 진에서 설치한 수비대장을 포로로 잡거나 죽이고,
구진 일남은 모두 오나라로 돌아왔다. 대사면을 실시.
교지를 나누어 신창군(新昌郡)을 만듦. 장수들은 부엄(扶嚴)을 격파시하고 무평군(武平郡)을 둠.
무창의 독 범신(范慎)을 태위로 임명. 우대사마 정봉, 사공 맹인이 죽임.
서원에서 봉황이 모여들었다는 보고, 이듬해에 연호를 바꿈
272
태시 8
봉황
원년
鳳凰
사마염, 왕준(王濬)의 오 정벌 진언을 받아들임.
가을 8월 - 서릉의 독 보천을 초빙하려고 함.
보천은 부름에 응하지 않고 성읍을 바쳐 진나라로 투항함.
악향 도독 육항(陸抗)을 파견하여 보천을 체포하도록 함, 보천의 병력은 모두 투항함.
보천과 함께 모의한 수십 명의 삼족을 멸함. 대사면을 실시.
이 해, 우승상 만욱이 견책을 받아 근심으로 자결하고, 그의 자제들은 여릉으로 이주됨.
273
봉황 2
봄 3월 - 육항, 대사마로 임명. 사도 정고, 세상을 떠남.
가을 9월 - 회양왕을 노왕(魯)으로 바꾸어 봉하고, 동평왕을 제왕(齊)으로 봉하고,
진류왕(陳留) , 장릉왕(章陵) 등 아홉 명의 왕을 봉하여 총 11명의 왕을둠,
왕에게는 병사 3천명씩 공급함. 대사면을 실시.
274
태시10
봉황 3
폐제 조방, 세상을 떠남.
회계에 장안후 손분(孫奮)이 천자가 되어야 한다는 뜬소문이 돎.
임해태수 해희(奚熙)는 회계태수 곽탄(郭誕)에게 편지를 보내 국가의 정치에 대해 비판을 함.
곽탄은 단지 해회의 편지만을 고발하였을뿐 헛소문에 관해서는 알리지 않아, 건안으로 보내져 배를 만드는 노역을 하게 됨.
275
함녕
원년
咸寧
천책
원년
天冊
사마염, 연호를 바꿈.
오군(吳郡)에서 땅을 파 은을 얻음, 길이 1척, 넓이가 3푼, 그 위에 연월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는 보고.
대사면을 실시하고 연호를 바꿈.
276
천책 2
천새
원년
天璽
오군의 임평호(臨平湖)는 한나라 말년 부터 잡초가 무성하여 통하지 않았는데 다시 개통되었다는 보고,
호숫가에서 돌함을 얻었는데, 길이가 네 치, 넓이가 두 치이며,
위에 황제라는 글자가 새겨진 청백색의 작은 돌이 들어 있어, 연호를 바꾸고 대사면을 실시.
회계태수 차준(車浚), 상동 태수 장영(張詠), 산민(算緡)을 내지 않았기 때문에 참수 됨,
그 머리는 여러 군에 보내져 사람들에게 보여짐.
(산민(算緡) 상인에게만 부과되던 상거래 세금을 모든 거래 당사자에게 보편적으로 확대 적용한 세금)
가을 8월 - 경하독 손해(孫楷)가 진으로 투항함.
277
천기
원년
天紀
여름 - 하구독 손신(孫慎)이 강하와 여남에서 진격하여 그곳의 백성을 말살하고 , 약탈함.
당초, 추자 출신 장숙(張俶)이 여러 차례 다른 사람을 모함하여 누차에 걸친 승진으로 사직중랑장이 되었고,
제후로 봉해져, 각별한 총애를 받음.이 해, 그의 죄가 들어나 사형에 처해짐.
278
함녕 4
천기 2
양흔(楊欣), 강족 약라발능(若羅拔能)에게 전사.
양호,병이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정에 나아가 오나라를 정벌해야 한다고 주장
11 월 - 양호, 세상을 떠나기전 후임으로 두예(杜預)를 추천.
가을 7월 - 성기(成紀), 선위(宣威) 등 11명의 왕을 세워, 3천명의 병사를 줌. 대사면을 실시.
279
함녕 5
천기 3
여름 - 곽마(郭馬), 모반 함.
8월 - 군사 장제(張悌), 승상으로 임명, 우저의 도독 하식(何植), 사도로 임명. 집금오 등순(滕循), 사공으로 임명,
곽마를 토벌하도록 함.
사마염, 오 정벌 시작.
겨울- 진동대장군 사마주(司馬伷), 도중으로 진군하도록 명령, 안동장군 왕혼(王渾) ,양주자사 주준(周浚), 우저로 진군.
건위장군 왕융(王戎), 무창으로, 평남장군 호분(胡奮), 하구로, 진남장군 두예(杜預), 강릉으로,
용양장군 왕준(王濬)과 광무장군 당빈(唐彬), 장강을 건너 동쪽으로,
태위 가충(賈充), 대도독으로 임명, 그를 군대 병력의 가장 핵심에 위치하도록 함.
280
천기 4
봄 - 중산왕 대왕 등 11명의 왕을 세우고, 대사면을 실시.
왕준과 당빈이 도착하는 곳이면 붕괴되고 와해되어 저항할 수 있는 자가 없었음.
두예, 강릉독 오연(伍延)의 목을 베고 왕혼은 승상 장제(張悌)와 단양태수 심영(沈瑩)등의 목을 벰,
손호, 달아날 길이 없자 귀순하여 투항.
280
태강
원년
太康
진나라가 오나라를 정벌에 나서 손호는 진에 항복하고, 오나라멸망. 진이 삼국을 통일.